본문 바로가기

개인정보

(3)
유튜브, 2천억원대 벌금…"아동 개인정보 불법취득" 부모 동의 없이 어린이들의 개인 정보를 불법 취득한 유튜브가 1억7천만 달러(약 2천48억원) 벌금을 지불하게 됐다. 구글이 운영하는 유튜브가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와 뉴욕 검찰 등과 어린이 개인정보 불법 취득 혐의 합의금으로 1억7천만 달러를 지불하기로 했다고 CNBC가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구글과 유튜브는 벌금 외에도 “유튜브 채널 소유자들이 플랫폼에 올린 콘텐츠 중 어린이들을 타깃으로 한 것들에 대해선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개발, 유지”해야만 한다. FTC는 이번 합의안을 3대 2로 승인했다. 민주당 위원 두 명이 반대표를 던졌지만, 공화당 쪽 의원 3명이 찬성하면서 통과됐다. 어린이 온라인 프라이버시 보호법(COPPA) 위반 혐의를 받고 있는 구글은 이번 합의로 FTC에 1억..
유튜브, 2천억원대 벌금…"아동 개인정보 불법취득" 부모 동의 없이 어린이들의 개인 정보를 불법 취득한 유튜브가 1억7천만 달러(약 2천48억원) 벌금을 지불하게 됐다. 구글이 운영하는 유튜브가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와 뉴욕 검찰 등과 어린이 개인정보 불법 취득 혐의 합의금으로 1억7천만 달러를 지불하기로 했다고 CNBC가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구글과 유튜브는 벌금 외에도 “유튜브 채널 소유자들이 플랫폼에 올린 콘텐츠 중 어린이들을 타깃으로 한 것들에 대해선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개발, 유지”해야만 한다. FTC는 이번 합의안을 3대 2로 승인했다. 민주당 위원 두 명이 반대표를 던졌지만, 공화당 쪽 의원 3명이 찬성하면서 통과됐다. 어린이 온라인 프라이버시 보호법(COPPA) 위반 혐의를 받고 있는 구글은 이번 합의로 FTC에 1억..
네이버, AI 음성수집 논란 해명...카카오 등 경쟁사는? 네이버가 인공지능(AI) 서비스 '클로바'의 음성정보 수집에 따른 이용자 사생활 침해 우려 보도에 공식 반박했다. AI 플랫폼 클로바 서비스의 품질 측정과 제고를 위해 호출이 일어난 이후 이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지만, 이후 적법한 절차에 따라 비식별 처리하고 파기·삭제한다는 것이다. 또 네이버는 클로바와 유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카오나 애플, 구글 등도 음성 서비스 품질을 높이기 위한 음성 데이터 수집 작업 등은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카카오도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일부 수집하고, 서비스 품질 고도화를 위한 작업에 사용했다. 보안을 위한 비식별화 조치도 이뤄졌다. 네이버는 3일 ‘네이버 다이어리’ 공지문을 통해 AI 서비스 이용자 사생활 침해 우려에 대한 설명문을 올렸다. 이는 네이버가 자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