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정 (3) 썸네일형 리스트형 [리눅스] linux 사용자계정 권한 ( chmod , chwon ) & Putty설정 방법 ● Permission : 허가권으로써, 특정 디렉터리나 파일에 대한 접근 제어를 할 수 있다. chmod ( change mode ) : 허가권을 변경하는 명령어다. - r(read) : 읽기 - w(write) : 쓰기 - x(execute) : 실행, 접근 * 8진수의 숫자로 표기 * Permission : 허가권 * Owner : 소유자 * Group : 그룹 * Other : 그밖의 vi /etc/default/useradd 명령를 사용하고난후, 위와같은 사진이 뜨는지 체크합니다. 저번편에서 사용자계정 수정 및 삭제 실습을 했으므로, 다시 shell을 원래대로 위사진처럼 돌려놓습니다! ( 원래 이렇게 되어있다면 이상없이 실습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 우선, 사용자계정 권한의 실습을 위해, tes.. [리눅스] 사용자(계정) 수정 및 삭제 옵션 / 그룹 생성&수정&삭제 옵션 usermod는 사용자의 수정모드를 나타냅니다. ( -c : 부연설명 추가 ) 위처럼 user5사용자에게 -c옵션을 통해 hi라는 부연설명을 추가했습니다. 이번에는 -u를 통해 사용자의 UID정보를 임의로 변경해보겠습니다. 위에서 보면 -u옵션을 통해 600으로 UID를 변경했습니다. 사용자 경로를 변경에 앞서, tail -4 /etc/passwd를 통해 user5의 경로를 확인해봅니다. usermod -d옵션을 통해 /test_user/user5로 변경해줍니다. 그리고나서 다시 확인해보면 /test_user/user5로 변경된걸 확인할수있습니다. 그리고나서 ls를 통해 위치를 확인해보면 test_user디렉토리안에 user5가 있는걸 볼수있습니다. 현재 user1,2,3,4,5 모두 생성되어있습니다. .. [리눅스] 사용자계정생성 옵션&명령어 (사용자생성 - useradd & 사용자계정 정보보기) ◆ 현재 우리는 관리자이기때문에 일반 사용자에 대해서 수정,삭제,생성 등을 할 실습을 하기위해 처음 리눅스 설치할때 만든 사용자로 사용해보겠습니다 ! 우선, 빨간색처럼 tail /etc/passwd ( 사용자 계정 정보가 저장되어있음 ) 명령어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은 현재 리눅스 사용자 계정에 대해 모두 출력됩니다. 제일 아래 있는 whtjdgh31은 제가 처음 만든것이고, 그 위의 계정들은 시스템이 필요에 의해서 만들어진것이다. ★절대 함부로 삭제해서는 안된다. 또한, 사용자 관련 정보파일이라는 점도 명심해야한다.★ whtjdgh31 : 사용자 계정명 처음 우리가 만든 계정명이다. x : 비밀번호로써, 화면에 보여지지않는다. 1000 : 처음 1000은 user id 이다. 컴퓨터가 지정한 숫자로 표현..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