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율주행차 시대, 통신비는 얼마나 낼까? [아이뉴스24 도민선 기자] 5세대 통신(5G)이 상용화되며 등 네트워크와 연결된 자율주행자동차가 거리를 누빌 날이 가까워지고 있다. 자율주행차는 인간의 운전을 대신해 안전 운행을 해야하는 만큼 다수의 센서에서 다량의 데이터를 5G를 통해 초고속, 초저지연 처리해야 한다. 향후 이에 따른 통신비 부담과 경감 방안 등도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싷제로 지난 5일 열린 제2차 5G+전략위원회에서도 향후 자율주행자동차에서 발생하는 통신비용 부담 경감을 위한 '차량 전용 요금제' 출시 등 의견이 다뤄졌다. 자율주행자동차에는 카메라, 라이다(LiDAR), 레이더, 소나 등 다수의 센서에서 주행시간 내내 다량의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현재의 자율주행차는 미국 자동차공학회(SAE)가 정한 5개 단계 중 3단계인 '레벨3.. 카카오맵, 제주버스 위치 10cm 단위로 알려준다 이제 카카오맵에서 시내 버스의 실시간 위치를 볼 수 있게 된다. 카카오(공동 대표 여민수, 조수용)의 모바일 지도앱 카카오맵은 9일 제주도와 손잡고 초정밀 버스 위치 정보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위성항법시스템 'GNSS'(Global Navigation Satelite system)를 활용해 버스의 실시간 위치를 지도상에서 볼 수 있을 만큼 초정밀화한 것이 특징이다. 현재 각 지자체가 운영하고 있는 버스정보시스템은 버스 정류장 알림판과 모바일 서비스 등을 활용, 버스가 정류장에 몇 분후에 도착할 것이라고 알려주는 형태다. 버스 위치 정보를 정류장 단위로 파악하기 때문에 신호 대기나 도로 정체 등 실시간 정보를 시스템에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방식이다. 이번에 카카오맵에 도입한 '초정밀 버스 위치정.. 이전 1 다음